동식물 이야기

수선화를 보는 네 가지 시선 + 하나

Egaldudu 2025. 5. 28. 18:20

 

1. 봄의 시작을 알리는 꽃

수선화는 유럽에서 가장 먼저 피는 봄꽃 중 하나다. 특히, 영국과 웨일스에서는 수선화가 봄의 시작을 상징하는 대표적 식물이다. 눈과 서리를 뚫고 올라와 봄을 알리는 이 꽃은 새로운 한 해의 출발과 생명의 부활을 상징한다. 웨일스에서는 매년 3 1 '성 데이비드의 날'에 전통적으로 수선화를 옷에 장식한다.  

 

수선화의 꽃말은 '새로운 시작', '희망', '존경'이다. 이러한 꽃말은 수선화가 봄을 여는 꽃이라는 계절적 상징성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

 

 2. 아름답지만 독이 있는 식물

수선화는 단정하고 밝은 외형 뒤에 강한 독성을 지닌 식물이다. 식물 전체에 알칼로이드 계열의 독성 물질인 리코린(lycorine)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구근(알뿌리)에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된다. 따라서 구근을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사람이 리코린을 섭취하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 신경계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고양이나 개와 같은 반려동물이 수선화를 먹을 경우, 경우에 따라 심각한 중독 증상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수선화 줄기에서 분비되는 점액질은 다른 꽃들의 수분 흡수를 방해하여 빠르게 시들게 만들기 때문에, 꽃꽂이에서는 단독으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심리학 용어가 된 꽃

수선화의 학명 Narcissus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나르시스에서 유래한다. 나르시스는 물에 비치는 자기 모습에 매혹되어 연못에 빠져 죽고, 그 자리에 수선화가 피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여기서 파생된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라는 단어는 현대 심리학에서 자기애적 성향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이 되었다.

 

4. 과학과 의학의 소재

수선화는 최근 생명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구근에서 추출된 '헤만타민(haemanthamine)'이라는 알칼로이드는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도 수선화에서 추출한 갈란타민(Galantamine)은 알츠하이머병 치료 후보 물질로 연구되고 있으며,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수선화가 단순히 감상용으로 여겨졌던 꽃에서, 의약적 활용 가치가 주목받는 식물로 다시 조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5. Seven Daffodils

I may not have a mansion. I haven't any land. Not even a paper dollar to crinkle in my hand.
But(And) I can show you morning on a thousand hills. And kiss you and give you, seven daffod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