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지리 이야기

흑해(Black Sea) – 검은 바다의 깊은 비밀

Egaldudu 2025. 6. 24. 12:00

흑해의 위치와 주변 주요 항구들이 표시된 지도 (아조프해와 마르마라해도 함께 표기됨)

By User:NormanEinstein, CC BY-SA 3.0, wikimedia commons.

지도 위에 새겨진 '흑해'라는 이름은 그 자체로 강렬하다. 검은 바다라는 뜻을 가진 이 해역은 단순히 색을 나타내는 이름을 넘어, 그 속에 특별한 자연현상과 복잡한 역사를 담고 있다. 흑해는 왜 검다고 불리고, 이 바다의 진짜 모습은 무엇일까?

 

유럽과 소아시아를 가르는 내해

흑해는 동유럽과 소아시아(아나톨리아 반도) 사이에 자리한 거대한 내해다. 루마니아,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터키 등 여섯 개 국가가 해안을 따라 이어진다. 북쪽으로는 아조프해를 통해 유럽 내륙으로, 남쪽으로는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거쳐 에게해와 지중해로 연결된다.

 

이 바다는 단순한 내륙 바다 이상의 존재다. 면적만 해도 한반도의 두 배가 넘고, 최대 수심은 2,200미터에 달한다. 하지만 흑해를 진정 독특하게 만드는 요소는 그 깊이 아래에 숨어 있다.

 

세계 최대의 무산소 해역

흑해는 지구상에서 가장 넓은 무산소층(anaerobic zone)을 가진 바다로 알려져 있다. 해수면으로부터 약 100~150미터 아래부터, 흑해 깊은 바다 전체는 산소가 거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현상은 바다의 폐쇄적인 지형과 독특한 해수 구조에서 비롯된다. 흑해는 상대적으로 외부 해양과의 교류가 제한적이다. 남쪽의 좁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해 소량의 해수가 들어오긴 하지만 깊은 바다로 충분히 순환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바다 표면의 층과 심해층이 뚜렷하게 분리되고, 심층에는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

 

황화수소가 뒤덮은 심해

무산소 환경 아래에서는 일반적인 해양생태계가 유지될 수 없다. 대신 심층부에서는 황화수소(H₂S)가 축적된다. 이는 특정 세균들이 심해의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생성하는 독성 물질로, 바다를 부패시키고 깊은 어둠을 만들어낸다.

 

황화수소는 생명에 치명적이며, 이로 인해 흑해의 깊은 바다는 사실상 생물의 세계가 아닌, '죽음의 층'으로 불린다. 해양학자들은 이 특이한 구조가 고대 선박과 유기물을 보존하는데도 기여한다고 본다. 실제로 흑해 해저에서는 수백 년, 때로는 수천 년 전의 난파선이 거의 원형에 가깝게 발견되기도 한다.

 

'검은 바다'라는 이름은 어디서 왔는가

크림반도의 피올렌트 곶. 약 1억 6천만 년 된 고대 쥐라기의 화산암

By Vyacheslav Argenberg, CC BY 4.0, wikimedia commons.

 

흑해의 이름에 대한 해석은 하나로 정리되지 않는다. 바닷물 자체가 검은빛을 띤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신 깊고 불투명한 심해, 잦은 폭풍과 안개, 무산소층이 주는 폐쇄적 이미지가 '검은 바다'라는 상징을 만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또 다른 설은 고대 근동문화에서 색과 방향을 연결한 관습을 바탕으로 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검은색은 북쪽을, 붉은색은 남쪽을 의미했다. 아라비아인들 기준에서 흑해는 북쪽, 홍해는 남쪽에 위치하니 이 해석도 무시하기 어렵다.

 

역사적으로 흑해는 '불길한 바다'라는 인식도 강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흑해를 처음 '불친절한 바다(아크세이노스 폰토스, ξεινος Πόντος)'라 불렀다. 이후 탐험과 교역이 활발해지며 '친절한 바다(에욱세이노스 폰토스, Εξεινος Πόντος)'라는 이름으로 바뀌긴 했지만, 검은 바다라는 본래의 이미지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숨겨진 전략적 가치

흑해는 오늘날에도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해역이다. 러시아의 세바스토폴, 우크라이나의 오데사, 터키의 트라브존 등 여러 항구 도시가 흑해를 통해 세계와 연결된다. 흑해는 유럽, 아시아, 중동을 잇는 교통로이자 에너지 수송 경로로 활용된다.

 

또한, 해양학 연구에 있어서도 흑해는 특별하다. 지구 해양 중 최대 규모의 무산소층과 황화수소 축적 메커니즘은 학계에서 독립적인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는다. 지구의 심해 환경, 생물학적 극한 생존, 기후 변화에 대한 단서가 이곳에 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