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 이야기

나방은 왜 불빛에 모일까?

Egaldudu 2025. 8. 26. 00:37

현관 불빛에 이끌린 나방

By Fir0002, CC BY-SA 3.0, wikimedia commons.

 

풀리지 않는 오래된 질문

여름밤, 가로등이나 창문 불빛에 나방이 모여드는 모습을 보는 건 흔하다. 하지만 이 익숙한 장면에도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가 숨어 있다. 과연 나방은 왜 불빛으로 몰려드는 걸까?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설을 내놓았지만, 아직 어느 것도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았다.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가설은 다음 세 가지다.

 

달빛 착각설

가장 널리 알려진 설명은달빛 착각이다. 원래 나방은 달빛을 기준 삼아 일정한 각도로 비행한다. 멀리 있는 달은 항상 같은 방향에서 비추기 때문에 안정된 길잡이가 된다. 그런데 가까운 인공 불빛을 달로 착각하면 문제가 생긴다.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려다 보니 나선형으로 빙빙 돌면서 결국 불빛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오래전부터 대중적으로 알려졌지만, 실험적으로 직접 증명된 적은 없다. 특히 나방마다 불빛 반응이 다르다는 점에서 이 설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시각 혼란설

두 번째는시각 혼란이다. 나방의 눈은 어둠 속에서도 비행할 수 있도록 극도로 민감하게 발달해 있다. 그런데 강한 불빛이 들어오면 시야가 뒤틀린다. 어떤 연구에 따르면 나방은 불빛을 도넛 모양으로 인식하고, 어두운 중심을 향하려다 보니 결과적으로 빛 근처에서 맴돌게 된다.

 

, 불빛에 끌린다기보다 눈이 현혹되어 방향 감각을 잃는 것이다. 최근에는등을 가장 밝은 쪽으로 두려는 본능적 반응(Dorsal Light Response)’ 때문에 인공 불빛이 있으면 비행 경로가 크게 흔들린다는 실험 결과도 나왔다. 이는 시각 혼란설을 좀 더 구체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가시성 편향설

마지막으로는가시성 편향이라는 설명이 있다. 사실 나방이 특별히 불빛을 좋아해서 모이는 게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두운 밤중에는 나방을 잘 보지 못하다가, 밝은 가로등이나 전등 주변에서만 쉽게 관찰하다 보니 마치 불빛에만 몰리는 것처럼 느낀다는 것이다. 이 설명은 단순하지만, 인간의 관찰 방식에 따른 착시를 지적한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다.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달빛 착각, 시각 혼란, 가시성 편향. 이 세 가지 가설 모두 나름의 설득력을 갖고 있지만, 어느 하나 확정된 정답은 아니다. 나방이 왜 불빛에 모이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한 과학적 의문으로 남아 있다. 우리가 매일 보는 평범한 밤 풍경 속에도 아직 풀리지 않은 자연의 비밀이 숨어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