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품 이야기 51

바퀴 (Wheel)

바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을까? 만약 바퀴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인류 문명의 발전은 아마도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정밀 기계와 효율적인 이동 수단은 단순한 원형 구조 속에 담긴 복잡한 물리학과 재료 공학의 집약체이다. 바퀴는 회전 운동의 원리를 완벽하게 응용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문명의 발전을 가속화한 혁신적 발명품으로 평가받는다. 바퀴의 등장, 게임 체인저의 탄생 기원전 35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탄생한 최초의 바퀴는 당시 한정된 재료와 기술 속에서도 놀라운 혁신을 이뤄냈다. 초기의 바퀴는 거칠고 불완전한 목재나 점토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목재 및 금속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정밀하고 균형 잡힌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장인의 손길이 ..

발명품 이야기 2025.02.23

텔레비전

불신 속에서 탄생한 혁신적 미디어 서론. 텔레비전 : 불신 속에서 탄생한 혁신적 미디어1. 1920년대 : 텔레비전 기술의 첫 번째 도약2. 컬러 텔레비전의 원리 :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3. 컬러 구현 방식 : 베어드의 컬러 텔레비전4. 전자식 컬러 텔레비전의 등장5. 끊임없는 진화 : 텔레비전의 대중화와 산업 성장 결론. 텔레비전의 미래는 어디로? 서론. 텔레비전 : 불신 속에서 탄생한 혁신적 미디어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매체 중 하나인 텔레비전은 등장 초기만 해도 많은 이들의 의구심을 샀다. 그 개념이 처음 기술적으로 논의된 것은 1880년대로, 프랑스 엔지니어 라 뤼미에르 엘렉트리크(La Lumière électrique)가 한 저널에서 해당 기술을 설명한 것이 시초였다..

발명품 이야기 2025.02.23

작은 발명품 : 단추

단추 채우세요!흥미로운 단추 이야기 1902년,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연설을 하던 중이었다. 연설이 한창 무르익을 때, 갑자기 청중 중 한 사람이 소리쳤다. “대통령님! 당신의 조끼 단추가 풀려 있습니다!” 루스벨트는 잠시 멈춰 자신의 조끼를 내려다보더니 특유의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이거야말로 오늘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삶의 진짜 교훈입니다. 사소한 것이 모든 걸 바꿀 수 있다는 점 절대 잊지 마세요!” 단추는 생각없이 보면 셔츠를 고정해 주는 작고 흔한 플라스틱, 금속 또는 나무 조각이다. 별로 대단한 게 없는, 작고 평범한 물건이다. 단추의 기원단추는 5,000년 이상 존재해왔다.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2800년경 인더스 계곡 문명에서 조개껍데기로 만든 단추를 발견했다. ..

발명품 이야기 2025.02.21

월드 와이드 웹

By Jawed Karim and Yakov LapitskyThis file has been extracted from another file, CC BY 3.0, 유튜브에 업로드 된 최초의 19초 동영상은 중요한 발표나 역사적 행사가 아니라, 동물원의 코끼리 앞에 서 있는 힌 남자, 다름 아닌 유튜브의 공동 창립자 자베드 카림(Jawed Karim)의 모습이었다. 이 동영상은 2005년 4월 23일 "Me at the Zoo"(동물원에 있는 나)라는 제목으로 게시되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은 단순한 발명이 아니다. 그것은 인류의 생각과 지식, 삶의 방식 등을 서로 연결하는 보이지 않는 힘으로서 인류 역사상 가장 단시간에 가장 큰 변화를 이끌어 냈다. 웹이 창조되기 전에 지식..

발명품 이야기 2025.02.20

비누 : 비누칠 하며 비누를 생각한다

비누를 느끼는 12가지 생각촉 아득한 옛날, 인간에게 깨끗함이란 개념조차 없던 시대에. 어느 날, 바빌론의 한 여인이 강가에서 옷을 빨다 이상한 광경을 목격한다. 강물 위에 기름 같은 것이 둥둥 떠다니고, 옷감이 유독 더 깨끗해졌다. 사실, 그 근처에는 동물 제사를 지낸 흔적이 있었고, 동물의 기름과 나무 재가 섞여 자연스럽게 비누가 만들어진 것이었다. 목차1. 사람이 비누보다 더러울 수도 있다 2. 비누는 처음에 세탁용이었다 3. 비누 거품이 꼭 많아야 깨끗해지는 걸까? 4. 비누가 돈보다 값비싼 시절이 있었다. 5. 비누가 오히려 손을 더럽게 만들 수도 있다 6. 비누가 살인을 막은 적이 있다 7. 가장 비싼 비누는 얼마일까? 8. 과거엔 비누로 머리를 감지 않았다. 9. 물 없이 사용하는 비누가 ..

발명품 이야기 2025.02.17

포스트잇(Post-it)

포스트잇, 우연한 발명이 세상을 바꾸다. 아내가 치매를 앓고 있다. 남편은 아내가 중요한 순간을 기억할 수 있도록 집안 곳곳에 포스트잇을 붙여둔다. "당신은 나의 사랑하는 아내입니다." "우리는 매일 아침 함께 커피를 마셔요." 어느날 남편은 아내가 자기한테 남긴 포스트잇을 발견한다. "당신이 누구인지 몰라도, 당신을 사랑하는 것 같아요." 어디서 많이 들어본 듯한 이야기다. 잠시 헷갈린다. 포인트가 뭐지? 치매야, 사랑이야, 아니면 포스트잇? 포스트잇의 탄생포스트잇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사무용품 중 하나이지만 그 발명은 완전히 우연한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이 모든 것은 1970년대, 혁신으로 유명한 미국의 다국적 기업 3M에서 시작되었다. 1968년, 과학자인 스펜서 실버(S..

발명품 이야기 2025.02.16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가 없으면 우린 길치 GPS는 이제 인간 삶의 여러 부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시스템으로 자리잡았다. 가장 가깝게는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 등의 길안내 시스템이지만 등산같은 야외활동, 구조활동 또는 지도제작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도 폭넓게 활용된다. 물론 스마트폰이야 더할 나위없고, 2000년대 들어와서는 또한 GPS 좌표를 이용하여 보물을 찾는 지오캐싱(Geocaching) 같은 야외활동도 생겨났다.  1970년대에 미군은 미국인 이반 게팅(Ivan Getting)과 브래드포드 파킨슨(Bradford Parkinson) 교수에게 최초로 목표물을 향해 미사일을 정확하게 발사하여 공격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을 고안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들이 생각해 낸 것은 위성마다 그 안..

발명품 이야기 2025.02.02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이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용자와 기기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었다. 초기에는 군사, 산업, 의료 분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터치스크린의 역사>1. 터치스크린의 탄생 초기(1960년대~1970년대)2. 상업적 활용의 시작(1980년대)3. 두 가지 터치방식: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1990년대)4.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대중화(2000년대 이후)5. 현대 터치스크린 기술의 발전과 미래 1. 터치스크린의 탄생 초기(1960년대~1970년대)터치스크린 기술은 1965년 영국 엔지니어 E. A. 존슨이 개발한 정전용..

발명품 이야기 2025.01.29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열을 가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고, 한 번 굳으면 상온에서 쉽게 부서지지 않는 견고한 소재이다. 그래서일까, 셀룰로이드와 베이클라이트에서 나일론과 PVC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넘쳐난다. 알렉산더 파크스와 플라스틱의 탄생>영국 버밍엄 출신의 알렉산더 파크스(Alexander Parkes, 1813-1890)는 1862년 런던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에서 최초의 인공 플라스틱인 파크신(Parkesine)을 대중들에게 선보였다. 클로로포름과 피마자 기름을 혼합하여 만든 이 플라스틱은 다양한 형태로 모양을 잡을 수 있으면서도 냉각시에는 견고한 형태를 유지했다. 20세기 전까지 더 많은 플라스틱이 생산되었지만 상업적 성공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비용을 줄이면서 대량생산을 꿈..

발명품 이야기 2025.01.27

망원경

망원경은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로 우주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최초의 망원경은 16세기 초에 네덜란드인 안경사 ‘한스 리페르세이’(Hans Lippershey)에 의해서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원시적 형태이기는 했지만 망원경으로서 작동은 했던 것으로 보인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9년에 기존의 망원경을 개선하여 여러 중요한 연구에 이용함으로써 지구에 대한 인류의 비전과 우주관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  이 기기는 그리스 수학자 ‘지오반니 데미시아니’(Giovanni Demisiani)에 의해서 1611년에 최초로 망원경(telescope)이라고 명명되었다. 기능적 관점에서 본다면 현대적 천체 망원경의 기본 설계에 대한 공적은 ‘아이작 뉴턴’에게로 돌아간..

발명품 이야기 2025.01.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