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변기에서 3년을 보낸다고?
정확한 통계는 알 수 없으나 흔한 말로 사람은 일생 동안 약 3년을 화장실에서 보낸다고 한다 . 어쩌면 조금 과장된 말일 수도 있지만 결코 터무니없는 얘기는 아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그곳에서 보내는 시간은 의외로 긴 편이다.
오래전에 유럽에서는 배설물을 창밖으로 던지는 것이 일상이었다. 길거리는 악취로 가득 찼고, 콜레라와 장티푸스 같은 전염병이 끊이지 않았다. 화장실이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문명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깨끗한 화장실은 단숨에 탄생한 것이 아니다. 수세식 변기의 발명과 발전과정에는 많은 시행착오와 시대를 앞서간 발명가들의 노력이 깃들어 있다.
2. 수세식 변기의 시작, 존 해링턴이 여왕에게 미움을 사다
16세기 후반, 영국의 존 해링턴(John Harrington)은 획기적인 발명품을 만들었다. 바로 물이 내려가는 변기였다. 그의 변기는 물탱크에서 물을 흘려보내 오물을 씻어내는 방식이었으며, 오늘날 수세식 변기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이 발명품을 자신의 대모인 엘리자베스 1세 여왕에게 선물했으나 여왕의 반응은 냉담했다.
존 해링턴은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책을 쓰면서 변기의 이름을 ‘Ajax’(a+jakes: 변소를 뜻하는 언어유희)라 부르고, 권력자들의 위선을 변기에 빗대어 풍자했다. 결국 이 내용이 여왕과 귀족들의 심기를 건드렸고, 그는 궁정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그의 발명품은 결국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3. 알렉산더 커밍스, 악취를 막는 방법을 찾아내다
17세기 말까지도 사람들은 여전히 실외 배설 공간을 사용하거나 요강을 이용했다. 그러나 도시가 발달하면서 위생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졌다. 이를 해결한 인물은 바로 알렉산더 커밍스(Alexander Cummings)였다.
1775년, 그는 S자형 트랩(S-trap)을 도입하여 변기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이전의 변기들은 물을 내려보내는 기능은 있었지만, 오물이 남아있거나 하수구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막지 못했다. 커밍스의 발명 덕분에 화장실이 훨씬 쾌적한 공간이 되었고, 이 시스템은 이후 수세식 변기의 표준이 되었다.
이후 변기는 점차 개선되었고, 19세기에는 런던에서 최초의 공중화장실이 등장하며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변기가 널리 보급되기까지는 또 다른 혁신이 필요했다.
4. 현대식 변기의 완성, 스티븐스 헬리어의 혁신
19세기 후반, 스티븐스 헬리어(Stevens Hellyer)는 기존 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더욱 위생적인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변기 내부 테두리 아래에서 물이 골고루 분사되는 방식을 설계해 변기를 더욱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1857년, 미국에서는 최초의 상업용 화장지가 출시되었다. 사실 14세기 중국에서는 이미 화장지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본격적으로 대중화된 것은 이때부터였다. 화장지는 변기의 발전과 함께 점차 필수품이 되었고, 위생 수준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했다.
수세식 변기가 보급되면서, 도시의 위생환경은 급격히 개선되었다. 공중화장실이 늘어나고, 가정에서도 변기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전염병 발생률이 감소했다. 이제 변기는 단순히 편리한 도구가 아니라 공중보건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이 되었다.
5. 결론: 변기가 바꾼 세상
변기는 이제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었으며, 깨끗한 화장실은 기본적인 생활환경으로 자리 잡았다. 변기의 발전은 인류가 더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왔으며, 전염병 확산을 막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여전히 변기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심각한 위생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변기의 존재를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한번 변기가 없었던 시대를 떠올려보자. 악취로 가득한 거리, 오물이 널려 있는 도시, 그리고 끊임없이 퍼지는 전염병 등. 만일 수세식 변기의 발명과 발전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은 지금과 상당히 다른 모습이었을 것이다.
'발명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지스터(transistor): 세상을 바꾼 작은 혁명 (1) | 2025.03.12 |
---|---|
연필, 익숙하지만 분명한 발명품 (3) | 2025.03.12 |
에스컬레이터(Escalator): 빠름과 편함이 충돌하는 공간 (2) | 2025.03.11 |
와이파이와 미녀 , 헤디 라마(Hedy Lamarr)가 남긴 기술적 유산 (3) | 2025.03.10 |
기술이 일상을 바꿀 때 – 재봉틀 이야기 (2)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