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4

돌고래는 왜 집단으로 좌초할까?

By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stration (NOAA), Public Domain '병든 리더 이론' 가설간혹 뉴스에 등장하는 해변의 장면은 한눈에도 이상하다. 건강해 보이는 돌고래 수십 마리가 얕은 물가에 몰려 움직이지 못한 채 발견된다. 구조대가 투입되지만 끝내 많은 개체가 생명을 잃는다. 이처럼 돌고래의 집단 좌초는 단일한 이유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합적이고 반복적인 현상이다. 이 현상은 뉴질랜드, 스코틀랜드, 미국 동부 해안 등지에서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파일럿 웨일(pilot whale)이나 롱핀드 커먼 돌고래(common dolphin) 같이 사회성이 강한 종에서 자주 발생한다. 몇몇 경우에는 무리가 여러 번 해안으로 되돌아오기도 한다. 구조..

동식물 이야기 2025.05.22

제비집 요리, 정말 제비집을 먹는 걸까?

목차1. 진짜 제비집은 무슨 맛일까? 2. 제비집이 아니라 칼새의 둥지 3. 생명을 건 채취 4. 버드하우스 진짜 제비집은 무슨 맛일까?우리가 종종 마주치는 제비는 물가 근처에서 진흙을 입에 물고 날라와 벽이나 처마 밑에 둥지를 짓는다. 진흙 사이사이에 마른 풀이나 깃털을 섞고, 자기 침으로 단단히 붙여가며 하나씩 쌓아올린다. 그래서 제비집은 겉보기엔 단단하고 깔끔해 보여도 속은 온통 흙과 잡동사니가 엉겨 붙은 구조다. 그런데 이걸 식재료로 쓴다고 한번 생각해보자? 실제로 먹는 건 아니지만 상상만으로도 입 안 가득 흙 냄새가 퍼지는 느낌이 들것이다. 제비집이 아니라 칼새의 둥지By Asean5 - Own work, CC BY-SA 3.0 By Ediblebirdsnest - Own work, CC ..

동식물 이야기 2025.05.22

도시 전설과 가짜 뉴스의 차이

예전에 국만학교 다닐 때를 떠올려보자. 이상하게도 소풍만 가면 비가 왔다. 거의 매년 반복되던 그 이상한 우연에, 아이들 사이에서는 이런 말이 돌았다. “우리 학교 소사가 이무기를 죽여서 그렇대.”처음엔 장난처럼 들렸지만, 의외로 다들 고개를 끄덕였던 것 같다. 설명할 길 없는 일이 계속되면 사람들은 그 안에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싶어진다. 그렇다면 이 이야기는 과연 도시 전설일까? 아니면 일종의 가짜뉴스일까? 도시 전설 (Urban Legend)도시 전설 또는 현대 전설(contemporary legend)은 짧고 기이한 일화 형식의 이야기다. 대부분 출처가 불분명하고 등장인물은 익명으로 처리되어 진위를 확인하기 어렵다. 인터넷, 메신저, 입소문 등을 통해 빠르게 퍼지며, 때로는 밈처럼 소비되기도 ..

거북이의 여섯 가지 특별한 능력

거북은 흔히 느리고 둔한 동물로 여겨진다. 몸을 보호하는 두꺼운 껍질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약 2억 2천만 년 전부터 존재해 온 이 파충류는 겉보기와는 달리 생존을 위한 다양한 감각과 정교한 신체 능력을 갖추고 있다. 자기장을 인식하고, 자외선을 감지하며, 깊은 바다로 잠수하는 능력 등, 거북은 결코 단순한 생물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거북이 지닌 주요 생물학적 특징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넓은 스펙트럼을 보는 시력거북은 인간보다 더 넓은 빛의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자외선과 적외선을 포함해 네 가지 색 수용체를 갖춘 이들의 눈은, 특히 바다거북(Chelonia mydas)에게 야간의 환경 인식과 먹이 탐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뛰어난 시력은 인공조명에는 몹시..

동식물 이야기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