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20

왜 파도는 해변에 평행하게 밀려올까?

해변에 서서 파도를 바라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눈에 들어온다. 파도가 해안선을 따라 거의 나란히 도달한다는 점이다. 바람이 바다를 휘저으며 만들어낸 이 물결이 어떻게 그렇게 반듯하게, 마치 정렬된 것처럼 밀려올 수 있을까? 그 이유는 바다의 깊이, 파도의 속도, 그리고 물리법칙이 만드는 정교한 변화 속에 숨어 있다. 처음에는 바람을 따른다먼 바다에서 파도는 바람에 의해 생성된다. 바람이 수면을 밀어 올리며 일으킨 에너지가 파동 형태로 전달되고, 이 에너지는 먼 거리까지 이어진다. 이때 파도의 진행 방향은 바람의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처음 파도가 만들어질 때 꼭 해변을 향해 정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파도는 해변에 대해 어느 정도 비스듬한 각도로 다가온다. 하지만 해안에 ..

꽃이 피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 데시에르토 플로리도(Desierto Florido)

By Pato Novoa from Valparaíso, CC BY 2.0, wikimedia commons.지구에서 가장 메마른 사막, 아타카마칠레 북부에 위치한 아타카마 사막(Atacama Desert)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약 1~3mm에 불과하다. 이처럼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특정한 조건이 맞춰지면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평소엔 황량하던 사막에 꽃이 피어나고,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현지에서는 이 현상을 데시에르토 플로리도(Desierto Florido, ‘꽃이 피는 사막’)라고 부른다. 엘니뇨가 만든 생명의 틈이 현상은 단순한 강우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해양 이상 현상, 엘니뇨(El Niño)가 핵심 배경이다. 엘니뇨는 해수면 온도를 상승시키..

왜 바닷물은 짜고, 강과 호수는 짜지 않을까?

지구 표면의 70%는 물로 덮여 있지만, 그 물이 모두 같은 성질을 가진 것은 아니다. 강과 호수의 물은 우리가 마실 수 있을 정도로 담백한 반면, 바닷물은 짜다. 그렇다면 이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바다는 태초부터 짰을까? 아니면 짠맛은 지질학적 시간 속에서 차곡차곡 쌓인 결과일까? 짠맛의 기원은 육지에서바닷물의 짠맛은 육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바람과 비는 오랜 시간 동안 산과 언덕, 평야의 암석과 토양을 조금씩 침식시키며 무기질을 떼어낸다. 이 무기질 가운데는 염화나트륨, 즉 우리가 말하는 소금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강물에 실려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사실, 강물에도 염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그 농도는 매우 낮아서 인간의 미각으로는 감지할 수 없을 정도다. 호수 또한 마찬가지다..

알바트로스(Albatross) – '가장 멀리 나는 새'라는 오해

끝없는 수평선 위, 커다란 날개를 펴고 바람을 타는 새. 알바트로스(Albatross, Diomedeidae)는 바다를 삶의 무대로 삼고 수년씩 육지를 떠나 살아간다. 그 거대한 날개와 광활한 이동 범위 때문에 흔히 '가장 멀리 나는 새'로 불리지만, 이 표현은 절반의 사실만을 담고 있다. 바다 위를 떠도는 삶알바트로스는 본질적으로 바다의 새다. 대표적인 종인 흰날개알바트로스(Diomedea exulans)는 날개 길이만 3.3미터에 이르고, 평생 대부분의 시간을 해상에서 보낸다. 이들은 상승기류와 파도의 바람을 이용해 거의 날개를 퍼덕이지 않고 바다 위를 활공한다. 어린 알바트로스는 바다로 나선 뒤 번식할 준비가 될 때까지 수년을 바다에서 보낸다. 이 기간 동안 육지를 찾는 일은 거의 없으며, 삶의 대..

동식물 이야기 2025.07.09

세계 기후변화: 멈추지 않는 지구의 경고

By RCraig09 - Own work, CC BY-SA 4.0, wikimedia commons. 지구적 온난화 지구는 지금, 수십만 년 동안 겪어본 적 없는 속도로 뜨거워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바다, 대기, 육지, 극지방의 얼음, 심지어 생물권 전체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경고한다. 기온 상승은 지구 곳곳에서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며, 단순히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위기다. 일부 예외 지역도 있다. 북대서양의 일부 해역에서는 오히려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관측됐는데, 이는 북대서양 해류 약화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남극해 일부 지역의 냉각 현상도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예외적인 사례들을 제외하면, 오늘날의 온난화는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를 보인다. 지구 평균 기온..

특이점(Singularity)이란 무엇인가

특이점(Singularity)은 기술발전이 일정 임계점을 넘어, 인간사회와 문명 전체가 본질적으로 변형되는 전환점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원래 물리학과 수학에서 사용됐다. 블랙홀의 중심처럼 기존 물리법칙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극단적 지점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특이점은 주로 미래학과 기술철학에서 인간의 미래를 논의할 때 등장하는 핵심 용어로 자리 잡았다. 커즈와일의 특이점 개념특이점이라는 개념을 대중화시킨 인물은 미국의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이다. 그는 2005년에 발표한 저서 《특이점이 온다, The Singularity Is Near》를 통해 기술적 특이점 개념을 정리했다. 커즈와일은 인공지능, 나노기술, 생명공학, 뇌과학 등이 융합하며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라일락(Lilac), 봄을 물들이는 향기

By Georgina Szabo, CC BY 3.0, wikimedia commons. 향기로 가득한 봄의 절정라일락(Lilac) 향기가 바람결에 스칠 때면 봄은 이미 한창이다. 햇살이 부드럽게 퍼진 골목길, 어디선가 은은하면서도 선명한 향이 밀려온다. 그 향기는 단숨에 공기를 채우고, 익숙하면서도 아련한 기분을 불러일으킨다. 누구나 한 번쯤, 그 향기에 이끌려 무심코 고개를 돌려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어느새 벚꽃은 지고 신록이 짙어지는 사이, 라일락은 그렇게 조용히, 그러나 분명히, 봄의 중심을 채운다. 라일락의 이름과 유래라일락은 수수꽃다리속(Syringa)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 또는 작은 나무다. Syringa(사이링가 또는 시링가)라는 속명은 그리스어 시링크스(syrinx)에서 유래했는데, 이..

동식물 이야기 2025.07.01

느티나무, 특별하지 않은 듯 특별한 나무

By Dalgial, CC BY-SA 3.0, wikimedia commons.우리나라라면 시골 어디를 가도 쉽게 볼 수 있는 나무다. 마을 어귀, 정자 옆, 학교 운동장 구석 등 곳곳에 우뚝 서 있는 모습이 전혀 낯설지 않다. 너무 흔해서 특별함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느티나무는 평범해 보이면서도 오랜 시간 마을과 사람을 지탱해 온 의미 있는 존재다. 평범한 나무, 특별한 역할큰 느티나무(Zelkova serrata)는 잎이 무성한 가지를 뻗어 시원한 그늘을 만든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마을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고, 나무가 그 공동체의 중심에 자리잡게 된다. 한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마을 어귀에 느티나무를 심어 동네의 수호목으로 삼았다. 느티나무는 그렇게 마을을 보호하는 존재로 ..

동식물 이야기 2025.06.30

왜 해수면이 상승하는가

By NASA Earth RIght Now, Public Domain, wikimedia commons위성 자료에 따르면 20세기 후반부터 지구 평균 해수면은 약 20~25cm 높아졌고, 상승 속도는 최근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 변화는 단순히 얼음이 녹아서 바다가 넘친다는 수준을 넘어선, 복합적인 물리 현상의 결과다. 해수면 상승의 열 팽창 효과해수면 상승의 주 원인은 우선 열 팽창이다. 바닷물은 따뜻해질수록 부피가 팽창하는 성질을 지닌다. 산업혁명 이후 지구의 온도는 꾸준히 상승해왔고, 그 열의 상당 부분을 바다가 흡수해 왔다. 특히 상위 700m 해양층의 온도 상승이 두드러지지만, 심층 해양까지도 점진적인 온도 증가가 관측되고 있다. 국제 기후 보고서(IPCC)에 따르면, 지난 수십 년간 측정된..

햅틱 기술(Haptics), 공중으로 확장되는 촉감

By NASA, Public Domain, wikimedia commons.촉각을 디지털에 연결하다스마트폰을 조작할 때 손끝에 느껴지는 미세한 진동, 게임을 할 때 컨트롤러에서 전해지는 묵직한 반응. 우리는 이미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햅틱 기술(Haptics)을 경험하고 있다. 'Haptics'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haptesthai, '만지다'라는 뜻에서 비롯됐다. 디지털 기술이 시각과 청각을 넘어 촉각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방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햅틱 기술은 단순한 진동을 넘어, 가상 환경 속에서 힘, 압력, 저항, 심지어 공중에서의 촉감까지 재현한다. 두 가지 핵심: 촉각과 힘의 피드백햅틱 기술은 크게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과 힘 피드백(For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