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16

비둘기 배설물, 왜 빨리 닦아야 할까?

조류의 똥과 오줌이 섞여 있는 이유포유류는 대변은 장에서, 소변은 신장에서 만들어 따로 배출한다. 그러나 새는 구조가 다르다. 몸속 노폐물이 모두 총배설강(cloaca)으로 모여 한 번에 배출된다. 이 방식은 하늘을 나는 동물에게 유리하다. 새는 물을 아껴야 하고 몸무게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래서 액체 요소(urea) 대신 결정성 요산(uric acid)으로 노폐물을 내보낸다. 요산은 하얀색 페이스트처럼 보인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보는 새의 배설물은 사실은 ‘똥과 오줌이 섞인 혼합물’이다. 흰색은 오줌, 검은색은 똥이다. 두 성분이 동시에 쌓여 특유의 흰 얼룩과 냄새를 남긴다. 조류 배설물의 성질배설물의 흰 부분은 요산으로 강한 산성을 띠며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작은 결정처럼 굳어 표면에 달라붙는다..

동식물 이야기 2025.08.16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원리와 역사

오늘날 USB 메모리 드라이브는 너무 흔해서 특별히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2000년대 초, 이 작은 장치는 컴퓨터 파일 저장과 전송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다. 플로피디스크를 대체한 기술플로피디스크와 초기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회전하는 디스크와 이를 읽는 기계식 헤드를 사용했다. 이 구조는 속도가 느리고, 충격이나 자기장에 약했다. 반면,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핵심인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칩에 전하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라는 소자를 사용해, 전원이 꺼져도 전하가 유지된다. 이 덕분에 비휘발성이면서도 빠르고,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내구성이 높다.By Ravenperch, CC0, wikimedia commons. USB 포트의 역할USB(..

사소한 이야기 2025.08.16

여우원숭이(Lemur), 마다가스카르의 상징

1. 어떤 동물인가여우원숭이(Lemuriformes)는 마다가스카르에만 서식하는 영장류로, 얼굴은 여우를 닮았지만 원숭이와 비슷한 체형을 가진 독특한 동물이다. 큰 눈과 긴 꼬리, 그리고 재치 있는 행동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사랑받는 마스코트 같은 존재다. 하지만 이들의 매력적인 외모와 행동 뒤에는 심각한 생존 위기가 숨어 있다. 2. 다양성과 보전 상태현재 알려진 여우원숭이 종은 110여 종 이상이며, 이 가운데 상당수가 매우 위태로운 상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2018년 보고에 따르면, 105종이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멸종위기(Endangered)’, 또는 ‘취약(Vulnerable)’ 등 멸종 위험 단계에 속한다. 이는 여우원숭이가 전 세계 ..

동식물 이야기 2025.08.15

레서판다(Red Panda), 고산 숲의 희귀 포유류

1. 어떤 동물인가레서판다(Ailurus fulgens)는 이름 때문에 종종 형판다의 친척으로 오해받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독립 과(Ailuridae)에 속한다. 몸집은 집고양이 정도 크기이며, 붉은 갈색 털과 긴 줄무늬 꼬리를 지녔다.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된 날렵한 움직임을 보이며, 주로 히말라야와 중국 남서부의 고산림에서 서식한다. 서식지는 서늘한 기후와 울창한 대나무 숲이 특징이며, 대나무는 그들의 주요 먹이이자 생활 터전이다. 2. 서식지와 생태레서판다는 주로 대나무를 먹지만 계절에 따라 열매, 풀, 곤충, 작은 새나 설치류 등도 섭취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보내며, 번식기 외에는 주로 단독으로 생활하며, 영역을 지킨다. 번식기는 1~3월이며, 암컷은 여름 초에 한 배에 1~4마리..

동식물 이야기 2025.08.15

베링 해협의 다이오미드 제도, 날짜가 다른 두 섬

시간여행이 가능한 곳만약 눈앞에 있는 섬에 가기만 해도 하루가 바뀐다면 어떨까? 베링 해협 한가운데 있는 다이오미드 제도(Diomede Islands)가 바로 그런 곳이다. 이곳은 불과 약 3.8km 거리를 두고 두 섬이 마주보고 있지만, 시차가 무려 21시간이나 난다. 그래서 큰 다이오미드 섬은 ‘내일의 섬’, 작은 다이오미드 섬은 ‘어제의 섬’이라고 불린다. 두 섬의 위치와 국경다이오미드 제도는 러시아와 미국 국경 한가운데에 있다.큰 다이오미드(Big Diomede): 러시아령으로 추코트카 자치구 소속. 러시아어로는 라트마노프 섬이라 불린다.작은 다이오미드(Little Diomede): 미국령으로 알래스카 주 소속.두 섬 사이에는 국경선이 지나고, 동시에 국제 날짜변경선도 통과한다. 그런데 이 날짜..

꽃 향기는 어디에서 만들어지고, 무엇으로 이루어질까

꽃 향기는 단순한 ‘좋은 냄새’가 아니다. 식물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정교하게 설계된 화학 신호이며, 그 배후에는 복잡한 생리 작용과 생태적 전략이 숨어 있다. 향을 만드는 곳 ᅳ 꽃의 특수 분비샘꽃의 향기는 꽃잎, 꽃받침, 수술, 그리고 꽃턱에 위치한 특수한 분비샘에서 만들어진다. 이 분비샘은 식물이 생산한 화학 물질을 공기 중으로 방출해 주변으로 퍼뜨린다. 향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주로 분자량이 작고 쉽게 휘발하는 화합물로, 공기 중에서 빠르게 확산해 곤충의 후각을 자극한다. 향의 성분 ᅳ 휘발성 유기 화합물꽃 향기는 하나의 단일 물질이 아니라 수십 가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이 섞여 만들어진다. 알코올, 에스터,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대표..

동식물 이야기 2025.08.13

눈 없는 멕시코 동굴물고기(blind cave fish)

By Richard Borowsky (New York University], CC BY 3.0, wikimedia commons. 1. 표면형과 동굴형 멕시코 동굴물고기(Astyanax mexicanus, 멕시코 테트라)는 잉어목 카라신과에 속하는 담수어로, 멕시코와 미국 남부의 하천, 호수, 그리고 석회암 동굴 속 지하 하천에 서식한다. 이 종의 가장 큰 특징은 한 종 안에 표면형(surface morph)과 동굴형(cave morph)이 공존한다는 점이다. 수면 가까이에서 사는 친척 종(표면형)은 일반적인 은빛 물고기처럼 눈과 색소를 모두 갖추고 있지만, 동굴형은 눈이 퇴화하고 색소가 소실된 흰색 또는 분홍빛의 몸을 가지고 있다. 2. 동굴형의 눈 퇴화 과정동굴형 개체는 배아 발달 첫 24시간 동안 ..

동식물 이야기 2025.08.13

겨울 숲을 푸르게 지키는 상록수, 그 생존 전략

겨울에도 푸른 상록수겨울이 오면 숲의 표정이 바뀐다. 단풍나무와 참나무 같은 낙엽수들은 잎을 모두 떨구고, 앙상한 가지를 하늘로 뻗는다. 하지만 그 사이에서 여전히 푸른빛을 잃지 않는 나무들이 있다. 이들은 소나무, 전나무, 호랑가시나무 같은 상록수들이다. 눈 덮인 한겨울에도 이들이 잎을 간직한 채 푸르게 서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낙엽수와 상록수, 서로 다른 겨울 나기겨울은 식물에게 혹독한 시기다. 낮이 짧아지고 햇빛이 약해져 광합성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기온은 영하로 내려가고, 토양의 수분이 얼어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어려워진다. 낙엽수의 잎은 얇고 넓어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수분 증발이 빠르고, 눈이나 찬 바람에 쉽게 손상된다. 이런 잎을 계속 유지하는 건 에너지만 낭비하는 셈이다. 그래서 가..

동식물 이야기 2025.08.12

무화과 껍질 밖과 속, 두 세계 이야기

“이에 그들의 눈이 밝아 자기들의 몸이 벗은 줄을 알고,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치마를 하였더라.” (창세기 3:7)By Jens-Christian Svenning, CC BY 4.0, wikimedia commons. 고대부터 함께한 나무무화과 나무(Ficus carica)는 뽕나무과에 속하며 서아시아와 지중해가 원산지다. 인류가 재배한 과일나무 가운데 가장 오래된 종류 중 하나로, 고고학적 관점에서 약 6천 년 전부터 재배되었다. 성경, 고대 그리스·로마 문헌, 이집트 벽화에도 무화과는 풍요와 번영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이 나무는 온대·아열대 기후에 적응력이 뛰어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생명력을 가졌다. 잎과 꽃, 그리고 보이지 않는 개화무화과 나무의 잎은 크고 손바닥 모양이며, 잎사귀에서..

동식물 이야기 2025.08.12

구름은 얼마나 무거울까

하늘 위 거대한 솜사탕, 실제 무게는?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가볍고 부드러워 보여도, 전체 물의 무게를 합치면 생각보다 엄청나다. 평균적인 적운(積雲, cumulus) 한 덩어리는 부피가 약 1km³(가로·세로·높이 각각 약 1km)이고, 그 안에 포함된 물의 무게는 약 500톤에 이른다.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무게만 놓고 보면 코끼리 100마리 정도가 연상되지만, 구름은 응집된 덩어리가 아니라 하늘에 넓게 퍼진 수많은 미세 물방울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코끼리 한 마리 부피만큼 구름을 떼어낸다해도 그 안의 물 무게는 고작 설탕 몇 스푼에 불과하다. 구름 속에 들어 있는 건 무엇일까?구름은 지름이 머리카락 굵기의 1/100도 안 되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모여서 만들어진다. 이 물방울들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