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1

만지면 움츠러드는 식물, 미모사 푸디카의 비밀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이 스스로를 지키는 방법 By Hrushikesh - Own work, CC0, wikimedia commons. 자연은 때때로 우리에게 놀라운 존재를 보여준다. 식물은 대체로 조용하고 움직이지 않는 생명체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런 고정관념을 흔드는 식물도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만지면 즉각 반응하는 미모사 푸디카(Mimosa pudica)다. 만지면 접히는 잎, 도대체 왜?미모사 푸디카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원산의 열대 식물로, 한국에서도 관상용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모사 푸디카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꽃 피는 초본식물로, 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일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자란다. 이 식물의 가장 놀라운 특징은 잎을 건드리면 금세 접히고, 줄기까지 축 늘어진다는..

동식물 이야기 2025.08.08

곤충은 고통을 느낄까?

1. 본능인가, 고통인가우리는 흔히 곤충이 다쳤을 때 즉각적으로 날아오르거나 도망치는 모습을 본다. 불꽃이나 자극적인 냄새를 피하기도 한다. 이처럼 곤충은 분명 ‘자극’을 감지하고 회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통각(nociception)’, 즉 위험 자극에 대한 자동 반응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반응을 ‘고통’이라 부를 수 있을까? 고통은 단순한 신체 반응을 넘어, 감정적 인지와 의식적 경험을 동반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다시 말해, “고통을 느끼려면, 그 고통을 자각할 수 있어야 한다.” 2. 과학은 어디까지 왔을까곤충이 자극에 반응한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좀 더 미묘한 고통 유사 반응이 포착되고 있다. 실험에 따라 일부 곤충은 지속적이고 ..

동식물 이야기 2025.08.07

우리는 왜 떨까

「떨림은 단순히 추위 때문에 생기는 반응일까? 몸이 덜덜 떨리는 이 현상은 의외로 다양한 맥락 속에서 나타난다. 추운 날씨 속에서, 공포에 휩싸인 순간에, 또는 겉보기엔 특별한 이유 없이 시작되는 떨림은 사실상 우리가 살아 있다는 신호이자, 몸이 균형을 유지하려는 방식이기도 하다. 」 몸은 왜 떨림으로 반응하는가떨림(shivering)은 근육이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하면서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열이 만들어지고, 그 열은 체온을 유지하는 데 쓰인다. 몸이 떨린다는 것은 곧 체온이 너무 낮아졌다는 경고이며, 뇌는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근육을 작동시킨다. 우리 몸은 내부의 열을 만들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떨림은 저체온을 막기 위한 본능적이고 즉각적인 조치다. 우리의 정상 체온은 약 37도이며, 35도..

사소한 이야기 2025.08.07

이안류(Rip Current), 해변의 숨은 위협

By Invertzoo - Own work, CC BY-SA 4.0, wikimedia commons.바다는 종종 평화롭게 보이지만 그 속에는 예상치 못한 위험이 숨어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이안류(rip current)’다. 잔잔한 해변에서 갑자기 바다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을 받았다면 당신은 아마도 이안류를 경험한 것일 수 있다. 이안류란 무엇인가?이안류(Rip Current)는 해안 가까이의 얕은 물에서 갑작스럽게 깊은 바다 쪽으로 강하게 빠져나가는 좁고 빠른 해류다. 마치 해저에 숨겨진 강처럼 작동하며, 겉으로는 파도가 부서지는 소리와 잔물결에 가려져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그 파괴력은 무시할 수 없다. 미국 라이프가드 구조 활동의 약 80%는 이안류에 휩쓸린 사람들을 구출하는 데 집중되..

경기 침체(recession)란 무엇인가

우리가 겪을 수도 있는 경제의 그림자‘경기 침체’라는 말은 뉴스나 보고서에 자주 등장하지만 정작 그 개념은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실업률이 오르고, 자영업이 위축되며, 물가와 소비가 함께 흔들릴 때 우리는 “경기가 안 좋다”고 느낀다. 그렇다면, 경제학에서 말하는 ‘경기 침체’란 정확히 무엇일까? 경기 침체의 정의: 단순한 GDP 감소 이상의 것미국 국가경제연구소(NBER)는 경기 침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경기 침체(recession)란 경제 활동이 여러 산업과 지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수개월 이상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침체는 일반적으로 실질 GDP, 실질 개인소득, 비농업 부문 고용, 산업 생산, 도소매 판매 등의 지표에 나타난다.” 흔히 “2개 분기 연속 GDP..

희망봉은 아프리카의 최남단이 아니다

By Sara&Joachim, CC BY-SA 2.0, wikipedia commons. 희망보에 대한 오해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이 어디냐는 물음에 사람들은 대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희망봉(Cape of Good Hope)을 떠올린다. 케이프타운 남쪽에 위치한 이 지점은 역사적으로 유럽 항해자들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진입하던 경계로 인식되었고, 해양 교통의 상징적인 전환점이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보면 희망봉은 최남단이 아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 아굴라스 곶실제 아프리카의 최남단은 아굴라스 곶(Cape Agulhas)이다. 이 지점은 희망봉보다 약 150km 남동쪽에 있으며, 위도상으로는 남위 34도 50분에 위치한다. 아굴라스 곶은 지리학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가장 남쪽 끝으로 공식 인정되는 지..

뮤추얼 펀드(mutual fund)란 무엇인가

‘뮤추얼 펀드’라는 용어는 국내 투자자에게도 점차 익숙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개념이 어떤 제도적 배경을 갖고 있는지, 한국의 펀드와 어떻게 다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뮤추얼 펀드의 정확한 의미와 그 제도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1. 뮤추얼 펀드는 미국식 집합투자회사 2. 투자자의 현실을 반영한 대안 3. 장점과 한계: 쉬운 접근과 숨은 비용 4. 한국의 펀드와 비교: 비슷한 구조, 다른 제도 5. 뮤추얼 펀드의 제도적 정체성 1. 뮤추얼 펀드는 미국식 집합투자회사뮤추얼 펀드(Mutual Fund)란 본래 미국 투자회사법(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에 따라 설립된 공모형 투자회사(open-end investment company)를 말한다. 이 제..

우리는 왜 눈물을 흘릴까?

눈물과 생리 작용눈물이 흐르는 이유는 단순히 슬퍼서만은 아니다. 기뻐서, 아파서, 심지어는 양파를 썰 때조차 눈물은 우리의 눈을 타고 흐른다. 경험상, 눈물은 단순한 감정 표현 그 이상이다. 감정과 생물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눈물은 다양한 생리적 반응과 연결된다. 세 종류의 눈물사람이 흘리는 눈물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눈물을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Ÿ기초 눈물(basal tears)은 평상시에 분비되어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건조나 외부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반사 눈물(reflex tears)은 연기, 먼지, 양파 등 자극적인 요소에 반응해 분비된다. 감각신경이 위협을 감지하면 뇌가 눈물샘에 신호를 보내 자극 물질을 씻어내도록 유도한다.Ÿ감정 눈물(emot..

사소한 이야기 2025.08.05

음식은 왜 부패하는가

음식은 시간이 지나면 형태가 무너지고, 냄새가 나며, 결국 섭취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는 단순한 변질이 아니라 음식의 구성 성분이 화학적·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결과다. 이러한 분해에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 식품 분해를 일으키는 두 가지 주요 요인1. 미생물에 의한 분해부패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미생물, 특히 박테리아와 곰팡이다. 이들은 음식에 침투해 증식하면서 구조와 맛, 냄새를 변화시킨다.박테리아박테리아는 음식 속의 단백질과 지방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는다. 외부로 분비한 효소로 분자를 분해하고 흡수하는 과정에서 카다베린, 푸트레신 같은 아민류가 생성되며, 특유의 악취가 발생한다. 이들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냄새나 ..

사소한 이야기 2025.08.05

홍해(The Red Sea)는 왜 '붉은 바다'일까

신화와 현실이 만나는 바다‘홍해’라는 이름을 들으면 많은 사람들이 제일 먼저 이 장면을 떠올린다. 이집트를 탈출한 모세가 지팡이를 들자 바다가 둘로 갈라지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사이 마른 땅을 지나 바다를 건넌다. 성경 출애굽기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다. 이 바다가 바로 홍해(Red Sea)다. 하지만 홍해는 단지 종교적 상징이나 옛이야기 속 무대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늘날에도 실존하는 이 바다는 지리적 위치와 전략적 중요성, 그리고 독특한 생태계로 인해 여전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홍해의 지리적 위치홍해는 아프리카 동북부와 아라비아반도 사이에 길게 뻗은 바다다. 북쪽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와 연결되고, 남쪽은 예멘과 지부티 사이의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거쳐 아라비아해로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