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용어들

뉴럴링크(Neuralink): 생각으로 기계를 움직이다

Egaldudu 2025. 3. 25. 20:55

 

 

픽사베이 이미지

 

1. 뉴럴링크란 무엇인가

뉴럴링크(Neuralink) 2016년에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설립한 신경과학 기술기업이다. 이 회사는 인간의 뇌와 기계를 직접 연결하는 기술, 기계 인터페이스(BMI, Brain-Machine Interface) 개발을 목표로 한다.

 

핵심은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컴퓨터나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것이다. 반대로, 기계의 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방향도 함께 연구된다. 이러한 기술이 현실화되면, 사람은 손이나 음성 없이도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생각만으로 타자를 입력하거나 화면을 조작하는 일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2. 칩과 전극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뉴럴링크가 개발한 칩은 동전보다 작고, 두개골 안쪽에 이식된다. 이 칩에는 1,000개 이상의 미세 전극(flexible threads) 이 연결돼 있으며, 전극은 뇌의 특정 부위에 닿아 신경세포의 전기활동을 감지한다. 신호는 칩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장치로 전송된다.

 

뉴럴링크는 이 전극이 머리카락보다 얇고 유연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식수술은 전용 로봇에 의해 정밀하게 수행되며, 환자의 뇌를 최소한으로 건드리는 것이 원칙이다.

 

3. 원숭이 실험

2021, 뉴럴링크는 원숭이 실험(Pager Monkey Experiment)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페이저(Pager)'라는 이름의 원숭이에게 칩을 이식한 뒤 고전 게임인 (Pong)’을 화면에서 조작하도록 훈련시켰다. 초기에는 조이스틱을 사용해 게임을 하게 한 뒤 조이스틱 조작에 대응하는 뇌 신호를 수집했다.

 

이후 조이스틱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원숭이는 오직 생각만으로 게임을 조작할 수 있었다.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면 속 막대를 자유롭게 움직이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 실험은 뉴럴링크의 기술이 실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입증한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4. 인간 실험

2024년 1월, 뉴럴링크는 첫 인간 대상 칩 이식수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3 5,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뉴럴링크의 제한적 임상시험(IDE, Investigational Device Exemption)을 승인한 데 따른 조치였다.

 

첫 실험 참가자는 뉴럴링크 칩을 통해 생각만으로 컴퓨터 화면의 커서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뉴럴링크는 이를 "신경신호를 해석해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실험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장기적인 안전성, 신호해석의 정밀도, 다양한 기능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후속검증이 필요하다.

 

5. 기술이 바꿀 수 있는 것들

뉴럴링크가 처음부터 지향한 방향은 신경계 손상 환자에 대한 실질적 도움이다. 말을 할 수 없는 사람이 생각으로 메시지를 보내거나, 팔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외부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시각·청각 장애 보조기술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인간능력의 확장도 고려된다. AI와의 직접 연결, 기억 저장, 집중력 향상 같은 기능은 아직 개념 수준에 가깝지만 관련 기술이 하나씩 실험되고 있는 상황이다. 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해석하고 전달하는 기술이 정교해질수록 적용범위는 점차 넓어질 수 있다.

 

6. 남은 과제

기술의 진보만큼 중요한 것은 안전성과 윤리문제다. 전극의 내구성과 생체 적합성, 장기 이식에 따른 뇌 조직 변화, 오작동 가능성 등이 대표적인 기술적 과제다. 또한 뇌 데이터를 누가 관리하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윤리적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다.

 

뇌파는 단순한 생체정보가 아니라 개인의 의지, 감정, 기억과 밀접하게 연관된 데이터다. 이러한 정보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기준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