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8

이안류(Rip Current), 해변의 숨은 위협

By Invertzoo - Own work, CC BY-SA 4.0, wikimedia commons.바다는 종종 평화롭게 보이지만 그 속에는 예상치 못한 위험이 숨어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이안류(rip current)’다. 잔잔한 해변에서 갑자기 바다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을 받았다면 당신은 아마도 이안류를 경험한 것일 수 있다. 이안류란 무엇인가?이안류(Rip Current)는 해안 가까이의 얕은 물에서 갑작스럽게 깊은 바다 쪽으로 강하게 빠져나가는 좁고 빠른 해류다. 마치 해저에 숨겨진 강처럼 작동하며, 겉으로는 파도가 부서지는 소리와 잔물결에 가려져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그 파괴력은 무시할 수 없다. 미국 라이프가드 구조 활동의 약 80%는 이안류에 휩쓸린 사람들을 구출하는 데 집중되..

경기 침체(recession)란 무엇인가

우리가 겪을 수도 있는 경제의 그림자‘경기 침체’라는 말은 뉴스나 보고서에 자주 등장하지만 정작 그 개념은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실업률이 오르고, 자영업이 위축되며, 물가와 소비가 함께 흔들릴 때 우리는 “경기가 안 좋다”고 느낀다. 그렇다면, 경제학에서 말하는 ‘경기 침체’란 정확히 무엇일까? 경기 침체의 정의: 단순한 GDP 감소 이상의 것미국 국가경제연구소(NBER)는 경기 침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경기 침체(recession)란 경제 활동이 여러 산업과 지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수개월 이상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침체는 일반적으로 실질 GDP, 실질 개인소득, 비농업 부문 고용, 산업 생산, 도소매 판매 등의 지표에 나타난다.” 흔히 “2개 분기 연속 GDP..

희망봉은 아프리카의 최남단이 아니다

By Sara&Joachim, CC BY-SA 2.0, wikipedia commons. 희망보에 대한 오해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이 어디냐는 물음에 사람들은 대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희망봉(Cape of Good Hope)을 떠올린다. 케이프타운 남쪽에 위치한 이 지점은 역사적으로 유럽 항해자들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진입하던 경계로 인식되었고, 해양 교통의 상징적인 전환점이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보면 희망봉은 최남단이 아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 아굴라스 곶실제 아프리카의 최남단은 아굴라스 곶(Cape Agulhas)이다. 이 지점은 희망봉보다 약 150km 남동쪽에 있으며, 위도상으로는 남위 34도 50분에 위치한다. 아굴라스 곶은 지리학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가장 남쪽 끝으로 공식 인정되는 지..

뮤추얼 펀드(mutual fund)란 무엇인가

‘뮤추얼 펀드’라는 용어는 국내 투자자에게도 점차 익숙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개념이 어떤 제도적 배경을 갖고 있는지, 한국의 펀드와 어떻게 다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뮤추얼 펀드의 정확한 의미와 그 제도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1. 뮤추얼 펀드는 미국식 집합투자회사 2. 투자자의 현실을 반영한 대안 3. 장점과 한계: 쉬운 접근과 숨은 비용 4. 한국의 펀드와 비교: 비슷한 구조, 다른 제도 5. 뮤추얼 펀드의 제도적 정체성 1. 뮤추얼 펀드는 미국식 집합투자회사뮤추얼 펀드(Mutual Fund)란 본래 미국 투자회사법(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에 따라 설립된 공모형 투자회사(open-end investment company)를 말한다. 이 제..

우리는 왜 눈물을 흘릴까?

눈물과 생리 작용눈물이 흐르는 이유는 단순히 슬퍼서만은 아니다. 기뻐서, 아파서, 심지어는 양파를 썰 때조차 눈물은 우리의 눈을 타고 흐른다. 경험상, 눈물은 단순한 감정 표현 그 이상이다. 감정과 생물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눈물은 다양한 생리적 반응과 연결된다. 세 종류의 눈물사람이 흘리는 눈물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눈물을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Ÿ기초 눈물(basal tears)은 평상시에 분비되어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건조나 외부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반사 눈물(reflex tears)은 연기, 먼지, 양파 등 자극적인 요소에 반응해 분비된다. 감각신경이 위협을 감지하면 뇌가 눈물샘에 신호를 보내 자극 물질을 씻어내도록 유도한다.Ÿ감정 눈물(emot..

사소한 이야기 2025.08.05

음식은 왜 부패하는가

음식은 시간이 지나면 형태가 무너지고, 냄새가 나며, 결국 섭취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는 단순한 변질이 아니라 음식의 구성 성분이 화학적·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결과다. 이러한 분해에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 식품 분해를 일으키는 두 가지 주요 요인1. 미생물에 의한 분해부패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미생물, 특히 박테리아와 곰팡이다. 이들은 음식에 침투해 증식하면서 구조와 맛, 냄새를 변화시킨다.박테리아박테리아는 음식 속의 단백질과 지방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는다. 외부로 분비한 효소로 분자를 분해하고 흡수하는 과정에서 카다베린, 푸트레신 같은 아민류가 생성되며, 특유의 악취가 발생한다. 이들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냄새나 ..

사소한 이야기 2025.08.05

홍해(The Red Sea)는 왜 '붉은 바다'일까

신화와 현실이 만나는 바다‘홍해’라는 이름을 들으면 많은 사람들이 제일 먼저 이 장면을 떠올린다. 이집트를 탈출한 모세가 지팡이를 들자 바다가 둘로 갈라지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사이 마른 땅을 지나 바다를 건넌다. 성경 출애굽기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다. 이 바다가 바로 홍해(Red Sea)다. 하지만 홍해는 단지 종교적 상징이나 옛이야기 속 무대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늘날에도 실존하는 이 바다는 지리적 위치와 전략적 중요성, 그리고 독특한 생태계로 인해 여전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홍해의 지리적 위치홍해는 아프리카 동북부와 아라비아반도 사이에 길게 뻗은 바다다. 북쪽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와 연결되고, 남쪽은 예멘과 지부티 사이의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거쳐 아라비아해로 이..

브레인 덤프(Brain Dump), 머릿속을 비우는 기술

생각이 넘칠 때 필요한 방법머릿속이 생각으로 가득 차 오히려 막막한 순간이 있다. 할 일은 쌓이고, 아이디어는 흘러넘치고, 감정은 복잡해져서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을 때, 필요한 건 단순한 기억력이 아니라 정리할 수 있는 힘이다. 브레인 덤프(Brain Dump)는 바로 그런 순간에 유용하게 작동하는 기술이다. 머릿속을 정리하려 애쓰기보다, 있는 그대로 쏟아내는 쪽을 택하는 것이다. 브레인 덤프란 무엇인가브레인 덤프는 말 그대로 머릿속에 담긴 생각, 기억, 감정, 할 일 등 모든 것을 종이나 화면 위에 그대로 흘려보내는 행위다. 말이 정리가 되지 않아도 좋고, 아이디어가 엉켜 있어도 상관없다. 지금 떠오르는 것을 평가하지 않고, 가리지 않고, 흐르도록 내보내는 것이 핵심이다. 이 표현은 컴퓨터공학에서 ..

여행 가방 효율적으로 싸는 팁 8가지

정기 휴가든 짧은 주말 여행이든, 가방을 효율적으로 싸는 건 생각보다 중요하다. 짐을 잘 싸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착해서 꺼낼 때도 훨씬 편하다. 아래는 수하물 공간을 아끼고 여행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실전 팁들이다. 1. ‘빠른 이용 파우치’ 따로 챙기기비행기 탑승 직전까지 자주 꺼낼 물건 ᅳ 여권, 보딩패스, 이어폰, 약, 립밤, 보조 배터리 등 ᅳ 은 작은 파우치나 크로스백에 따로 담아두는 게 좋다. 보안 검색대에서 빠르게 꺼낼 수 있고, 비행 중에 가방을 뒤적이지 않아도 된다. 가방 맨 위에 넣거나 손에 들고 타는 게 가장 효율적이다. 2. 미리 계획하기짐 싸기의 시작은 계획이다. 막연히 옷부터 챙기기 시작하면 결국 한 번도 입지 않을 물건들까지 가방에 들어간다. 모든 짐을 ..

사소한 이야기 2025.08.04

성수에서 스낵까지, 자판기(vending machine)의 역사

우리가 일상에서 스쳐 지나치는 자판기는 생각보다 오래된 뿌리를 가진다. 시작은 의외로 성스러운 공간이었다. 1세기, 성수를 나누던 자동 장치고대 그리스의 기술자 알렉산드리아의 헤론(Hero of Alexandria)은 동전을 넣으면 일정량의 물이 흘러나오도록 설계한 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기록에 남겼다. 동전이 접시 위로 떨어지면 레버가 눌려 밸브가 열리고, 동전이 미끄러져 떨어지면 무게추가 레버를 되돌려 물의 흐름이 멈추는 방식이었다. 이 장치는 사원에서 성수(holy water)를 남용 없이 정량으로 나누기 위해 쓰였다고 전해진다. 오늘날 ‘돈을 넣으면 정량을 받는’ 자동판매의 원형이 이미 이때 구현된 셈이다. 19세기, 산업사회가 불러낸 실용화오랜 공백 끝에 자동판매는 산업혁명기의 영국에서 실용..

발명품 이야기 2025.08.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