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3 2

인간을 재운 기술, 마취제

인간을 재운 기술, 마취제고통을 참는 수술의 시대마취제가 없던 시대, 외과수술은 고통을 견디는 일이었다. 환자는 온전한 의식 아래서 살을 절개당했고, 진통제라야 술이나 아편 정도에 불과했다. 신체를 묶고 비명을 억누른 채 수술대에 오른 이들은 통증과 출혈뿐 아니라 극심한 쇼크로 사망하기도 했다. 외과의사의 실력은 수술의 정밀함보다 얼마나 빠르게 절단할 수 있느냐로 평가받았다. 수술은 의학이라기보다 생존을 건 처치에 가까웠다. 에테르의 등장, 의식을 지우다1846년, 미국 치과의사 윌리엄 모턴(William T. G. Morton)은 외과수술에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었다. 그는 화학물질 에테르(ether)를 환자에게 흡입시켜 의식을 잃게 한 뒤 턱 수술을 진행했고, 환자는 고통을 느끼지 않았다. 이 공개 시..

발명품 이야기 2025.04.13

코픽스·CD·기준금리, 뭐가 다른가

코픽스·CD·기준금리, 뭐가 다른가금리에 대한 뉴스는 자주 접하지만, 정작 내가 받은 대출의 기준금리가 어떤 방식으로 정해지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준금리, 코픽스금리, CD 금리는 이름도 비슷하고 은행에서 혼용되기 때문에 혼란스럽기 쉽다. 하지만 이 세 가지는 출처도 다르고 기능도 다르며, 실제 대출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크게 차이난다. 1. 기준금리: 한국은행이 정하는 통화정책의 축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정책금리다. 정확히는 금융기관 간 하루짜리 초단기 자금거래(콜금리)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국은행이 설정한 ‘기준’ 금리로, 시중금리에 큰 영향을 준다. 기준금리는 물가안정을 중심으로 경제 전반을 조절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소비자 대출에 직접 적용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