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8

디지털 시스템을 위협하는 랜섬웨어, 피싱, 악성코드

1. 랜섬웨어 (Ransomware)랜섬웨어는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그걸 다시 풀 수 있는 키를 조건으로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다. 감염경로는 이메일 첨부파일, 가짜 프로그램 업데이트, 원격 접속 취약점 등 다양하다. 개인사용자도 타깃이 되지만 특히 병원·기업·공공기관처럼 운영 중단이 치명적인 곳들이 집중 공격 대상이 된다. 피해자는 대개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로 ‘몸값’을 요구받는다. 공격자는 데이터를 인질 삼아 협박하고, 피해자는 마비된 시스템 앞에서 선택을 강요당한다. 단순한 시스템 오류가 아니라 명백한 범죄행위다. 2. 피싱 (Phishing)피싱은 이메일, 문자, 가짜 웹사이트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기법이다. 외형은 정교하게 위장돼 있어 일반사용자가 구분하기 어렵고, 공..

흰가루병, 잎 위에 피는 하얀 곰팡이

1. 하얀 가루처럼 보이는 병봄이나 초여름, 길가나 공원 나무 잎에 하얀 가루가 내려앉은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마치 밀가루를 뿌린 듯한 그 풍경은 얼핏 보면 별일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식물의 건강을 위협하는 곰팡이병이다. 식물학에서는 이를 ‘흰가루병’이라고 부른다. 이름은 순해 보이지만 이 곰팡이는 식물 표면에 가느다란 균사를 뻗고 포자를 날리며 확산되는 전형적인 기생생물이다. 2. 밀가루처럼 뿌려진 곰팡이흰가루병은 식물의 잎과 줄기 표면을 얇고 하얗게 덮으며 자란다. 영어로는 ‘가루 곰팡이(Powdery mildew)’라고 부르며, 겉보기에는 마치 밀가루나 먼지를 뿌린 듯한 인상을 준다. 하지만 그 하얀 가루는 곰팡이의 균사와 포자가 뒤엉킨 덩어리로, 식물을 가볍게 흔들기만 해도..

동식물 이야기 2025.04.19

메타버스(Metaverse)의 뜻과 구조, 그리고 과제

가상과 현실이 겹치는 새로운 공간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을 뜻하는 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의 결합어로, 가상공간 안에서 인간의 사회활동이 구현되는 확장된 디지털세계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92년 미국 작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SF 소설 『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는 현실과는 다른 세계에서 사람들이 아바타 형태로 살아가는 구조를 상상했고, 이후 이 개념은 현실 기술발전과 맞물려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원격접속과 가상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메타버스는 게임, 교육, 협업, 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기술의 발전을 넘어 새로운 사회적 공간의 등장을 암시한다. 기술로 구현되..

변이 바이러스와 키메라 바이러스: 자연과 조작

바이러스는 모두 같은 방식으로 출현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바이러스는 시간이 흐르며 스스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변형되고, 또 어떤 바이러스는 실험실에서 조작을 거쳐 만들어진다. 그 대표적인 예가 ‘변이 바이러스’와 ‘키메라 바이러스’다. 1. 변이 바이러스 (Variant Virus)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가 복제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전자에 변화를 일으켜 새롭게 나타난 형태를 말한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증식하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이러스의 전염력, 병원성, 백신 회피 능력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알파형, 델타형, 오미크론형은 모두 변이 바이러스에 해당하며, 각각의 변이는 백신과 치료제의 효과, 전파 속도, 중증도에 영향을 미쳤다. 바..

생성형 AI (Generative AI):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의 구조와 쟁점

1. 생성형 AI란 무엇인가생성형 AI(Generative AI)는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AI가 주로 판단과 분류기능에 집중했다면,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실제로 존재하지 않던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ChatGPT(OpenAI), 이미지를 그리는 Midjourney, 영상을 생성하는 Sora(OpenAI)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또는 멀티모달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2. 어떻게 작동하는가생성형 AI는 딥러닝(Deep Learning), 특히 트랜스포머(Transformer) 구조를 활용하여 방대한 데..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기술에게 허락된 시험 공간

기술실험을 허용하는 제도규제 샌드박스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가 기존의 법이나 제도에 막히지 않고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시험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 정부는 정해진 범위 안에서 규제를 유예하고, 기술기업은 실제 서비스처럼 실험할 수 있게 된다. 왜 필요한가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은 기존 법체계에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등장하곤 한다. 이때 제도가 정비되기 전까지 모든 시도를 금지한다면 혁신이 지연될 수 밖에 없다. 규제 샌드박스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한 과도기적 장치이다. 이름의 의미‘샌드박스’는 아이들이 울타리 안에서 안전하게 노는 모래 놀이터에서 유래한 말이다. 위험을 통제 가능한 범위로 제한하고, 그 안에서 실험을 허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면적인 규제 해제가 아니라, 정부가..

핀테크(Fintech): 금융을 다시 설계하는 기술

1. 핀테크란 무엇인가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예금, 대출, 결제, 보험, 자산관리 등 전통적인 금융서비스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산업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모바일 송금이나 간편 결제서비스가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오픈 API 같은 기술이 다양한 금융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2. 핀테크는 왜 등장했는가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기존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크게 흔들었다. 이후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이 본격화되면서 사용자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금융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기술기업들이 금융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다. 기존 은행 중심의 폐쇄적인 구조에 기술기반 기업들이 도전장을 던..

기본소득, 모두에게 주는 돈은 가능한가

1.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기본소득(Basic Income)은 정부가 모든 시민에게 무조건적으로, 정기적으로,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직업이 있든 없든, 부자이든 아니든, 자격 심사나 조건 없이 국가가 보장하는 최소한의 소득이다. 전통적인 복지제도는 보통 저소득층에 선별적으로 지원되며 신청과정에서 소득조사나 조건심사가 필요하다. 반면, 기본소득은 이런 복잡한 절차나 낙인효과 없이 보편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개념적 차이를 가진다. 2. 기본소득의 기원기본소득의 사상적 기원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독립운동가 토머스 페인(Thomas Paine)은 1797년 『토지 정의(Agrarian Justice)』에서 토지로부터 얻는 수익은 인류 공동의 자산이므로 일정 금액을 모두에게 나눠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