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4 6

의사결정피로(Decision Fatigue)

1. 결정할수록 지치는 의사결정 피로사람은 하루에 평균 몇 번의 결정을 내릴까. 생각보다 많다. 오늘 입을 옷, 아침 메뉴, 출근길 루트, 일의 우선순위, 점심은 뭘 먹을지, 말은 어떻게 건넬지… 이렇게 작고 반복적인 선택이 하루 종일 쌓인다. 문제는, 결정 자체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점이다. 심리학자 로이 바우마이스터(Roy F. Baumeister)는 자기 저서 『의지력: 인간 최고의 힘을 다시 발견하다』(2011)에서 반복되는 선택이 인지 자원을 소모하고, 결국 판단력과 자제력을 약화시킨다고 설명했다. 이 현상을 그는 ‘의사결정 피로(Decision Fatigue)’라는 개념으로 정리하며,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2. 판단력은 점점 흐려진다2011..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보고 싶은 것만 보는 뇌의 습관

우리는 대체로 우리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 그래서 때때로 거기 없는 것도 본다고 착각한다. (에릭 호퍼, Eric Hoffer) 1.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이유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정보를 마주한다. 뉴스, 댓글, 영상, 대화, 통계.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중에서 유독 ‘내가 믿고 싶은 것’만 눈에 잘 들어온다. 이쯤 되면 세상이 내 생각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건 진실일까, 아니면 내가 만들어낸 착각일까. 심리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 부른다. 이 편향은 생각보다 교묘하고 강력해서 우리가 얼마나 자주 스스로를 속이고 있는지를 자각조차 못하게 만든다. 2. 심리 실험으로 드러난 편향확증편향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영국..

던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1. 자신감과 실력은 일치하지 않는다 ‘던닝-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지 못하고 오히려 과도한 자신감을 보이는 심리현상을 뜻한다. 이 용어는 1999년에 심리학자 저스틴 크루거(Justin Kruger)와 데이비드 더닝(David Dunning)이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2. 무지를 인식하지 못할 때 생기는 착각두 사람은 코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유머 감각, 문법 지식, 논리적 추론 능력에 대해 자신이 얼마나 잘한다고 생각하는지 평가했고, 이후 실제 시험점수와 비교했다. 결과는 매우 명확했다. 실력이 부족한 하위그룹일수록 자신을 평균 이상으로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반대로 상위 그룹은 스스로를 실제보다 낮게 평가했다..

골렘(Golem), 부정적 기대가 현실이 될 때

1. 골렘, 전설 속 진흙 인형의 탄생과 파괴골렘(Golem)은 히브리어로 "형체 없는 덩어리"를 뜻한다. 유대 전설에 따르면, 골렘은 랍비가 진흙으로 빚어 만든 인공적 존재로, 특정 주문이나 신비한 글자를 통해 생명을 얻는다. 대표적인 이야기는 16세기 프라하의 랍비 뢰브(Rabbi Judah Loew ben Bezalel)가 창조한 골렘 전설이다. 랍비 뢰브는 유대 공동체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골렘을 만들어냈지만, 통제가 어려워지자 결국 골렘을 다시 진흙으로 되돌리는 파괴적 결말을 맞이한다. 이 전설은 인간의 의도와 기대가 통제를 벗어났을 때 나타나는 위험성을 상징한다. 2. 유대 신비주의에서 바라본 골렘의 의미, 거쉼 숄렘의 분석 골렘 전설이 서구 사회에 널리 알려진 계기는 유대 신비주의 연구자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자기충족적 예언)

The self-fulfilling prophecy is, in the beginning, a false definition of the situation evoking a new behavior which makes the originally false conception come true."자기충족적 예언이란 처음에는 잘못된 상황 해석에서 시작하지만, 이로 인해 새롭게 발생한 행동이 결국 처음에는 잘못된 것으로 보였던 믿음을 현실로 바꾸어 놓는 현상이다.로버트 머튼, 『사회이론과 사회구조』(1948)> 1. 피그말리온 신화, 믿음이 현실로 바뀐 이야기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다.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자신이 만든 완벽한 조각상과 사랑에 빠졌고,..

조명 효과(Spotlight Effect)

모두가 나만 보고 있는 것 같을 때 1. 무대 위의 불빛, 혹은 착각심리학자 토머스 길로비치(Thomas Gilovich)와 동료들은 한 가지 실험을 설계했다. 참가자들에게 미국 가수 베리 매닐로(Barry Manilow)의 얼굴이 큼직하게 인쇄된 촌스러운 티셔츠를 입히고 사람들로 가득 찬 강의실에 들어가게 했다. 실험이 끝난 후, 참가자들은 자신이 얼마나 눈에 띄었는지를 추정했다. 평균적으로 절반 이상이 자신을 봤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로 그 티셔츠를 기억한 사람은 단 21%에 불과했다. 우리는 흔히, 실제보다 타인의 시선이 자신에게 더 많이 쏠려 있다고 느낀다. 하지만 그건 생각보다 흔한 착각이다. 2. 조명효과란 무엇인가자신이 타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과도하게 인식하는 인지적 경..

카테고리 없음 2025.03.24